2 minute read

리눅스 2강

1. 사용자등록, 패스워드 설정

1)관리자(root)와 일반사용자

옛날 도스, 윈도우 초반에는 관리자 개념이 없었다고 한다. 그땐 개인용PC가 주였다. why? 여러 계정을 사용해야 관리자 개념이 필요한 것이기 때문

2)사용자와 그룹

​ - 사용자권한(사진 속 A B C)

​ - 그룹권한(a )

​ - other(위 둘다 아닌)권한

파일의 권한설정

  • owner의 권한

  • owner 그룹의 권한

20220304_185542

3)사용자 및 그룹 관리

관리는 root관리자 권한으로 진행해야함.

​ 방법1. su - : 계정전환(사용자계정 to 루트계정) / 방법2. sudo ~~~ 권한을 부여한 코드로 진행

su - {계정명} : 루트계정 to 사용자계정

adduser {새 사용자 이름}: 새 계정(사용자)추가

! 계정(사용자)를 추가하면 기본적으로 동일이름의 프라이머리 그룹이 생김. 지울 수 없다.

addgroup {사용자} {그룹}: 사용자를 그룹에 추가.

deluser : 계정삭제

delgroup : 그룹삭제

id : 아이디 보기

groups : 현재 사용자의 그룹보기

cat : 파일 보기

​ uid = 유저아이디/ gid = 그룹아이디

4) 패스워드 설정

passwd koposw00

2. 권한획득, 명령어 도움말

1)권한획득

​ 방법1. su - {계정명} : 루트계정 to 사용자계정

2)명령어 도움말

​ man 명령 : 명령어 도움말을 보여줌(manual)

​ man adduser

3. 가상 터미널

1)프로그램 설치

2)ssh, telnet설치

예전엔 원격 접속을 위하여 telnet을 사용했지만 보안이 되지 않는(패킷) 기능이였다. 그리하여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다. 요즘은 ssh사용!

1일차에 리눅스를 통해 ssh서버를 구축하고, 쁘티를 통해 ssh 클라이언트 서버로 들어갔었다.

**3) 사용자 PC에서 필요 프로그램 설치 **


용어정리 :20220304_185535

IP : Internet Protocol (address)

​ 168.126.63.1…/254 : ~63.까지만 같으면 같은 네트워크라 보고 접근할 수 있다.

IP의 32bit 주소체계(IPV4 IPVersion4) :

​ 32개의 2진수 : 8자리.8자리.8자리.8자리 (식별이 어려움)

각 8자리를 인수로 정리 => 168.126.63.1 (식별이 쉬움)

​ 이때, 32bit의 경우의 수는 2^32(40억 정도). IP가 불충분하다!

​ 그리하여 IPV6 등장.

IPV6 (128bit)가 도입은 되었지만 체계가 복잡해 전문적인 곳에서 주로 사용.

​ 그럼 어떻게 충당을 하나?

=>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의 등장

중복 IP여도 GATEWAY와 SUBNETMASK가 달라, 여기에 PORT까지 설정해주면 원하는 특정 IP를 찾을 수 있지.

image-20220304084407059

HUB - 같은 네트워크 끼리 연결해주는 장비

BRIDGE - 허브끼리 연결해주는 장비 = L2 장비

ROUTER - 다른 네트워크로 이동할 수 있는 장비(라우팅) = L3 장비

​ 라우터 장비의 Address = GATEWAY ADDRESS

​ 집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공유기는 보통 허브 역할도 하고 라우터 역할도 하는 L2 L3장비이다.

DNS

​ -Domain Name : 특정 IP(구글, 네이버 등)에 접속을 할 때 IP주소를 찾기보다 도메인 네임을 설정하여 접속하기 편리하게 만든 이름.

​ -Domain Name Server : DNS에 IP번호를 문의하면 DN(네이버)가 나오고,

​ DN을 문의하면 IP를 준다. => “IP와 DN이 매핑되어있다.”

​ 매핑 되어있는 IP와 DN 정보들을 저장, 모아두는 곳 DNS

Root

Administraitor(Admin)

TCP/IP 네트워크

IP

PORT

​ 한 서버에서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만든 PORT

​ 총 65535(2진수)개의 포트가있다.

DHCP

동적으로 IP를 할당해주는 서버.

네트워크 안에 연결이 되면 , DHCP를 설정해놓은 서버가 있으면 서버에 들어온 pC에 자동으로 IP를 설정해줌.

이와반대로 일일이 설정해줘야 하는 방식 Static방식(고정IP).

NAT

​ 인터넷에는 공인IP와 사설IP(ex, 교안의 NAS네트워크 등 외부에서 들어오지 못하는 닫혀있는 네트워크)가 있다.

인터넷 설정에 기본적으로 4가지 요소

IP

Subnet(추후에)

gateway

DNS

​ Gateway에는 두개의 nic이 있다.

NIC : network interface card

​ 한개는 인터넷에 연결, 한개는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있다. (VB처럼 가상으로 서버를 만드는 경우 허구의 NIC or 컴퓨터의 LAN선 꼽는 곳 같은 경우 실재. )

​ 내부 네트워크는 하이라키처럼 이루어져 있다. 네트워크 속 네트워크 속 네트워크…

​ 네트워크에서 제일 중요. 통신의 기본 단계(하이라키 계단에서)에서 제일 윗단계.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다른 게이트웨이로, 즉 다른 서버로 통신이 가능.

192.168.23.1 에서 마지막 1이 게이트웨이.

2의 진수 256. 1개의 게이트웨이(하이라키) 하향 계단에서 총 256-1 개의 단계를 만들 수 있다.

Static IP(고정IP)

Port forwarding

게이트웨이의 하향 단계에서 윗단계는 아랫단계의 내용을 볼 수 없다. (박스안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볼 수 없다.)

그리하여 포트포워딩을 통해 위에서 아래로 물길 만들 듯이.

포트포워딩 번호로 하향 방향 IP를 잡아줌

CPU와 코어, 메모리의 관계

20220304_185546

Updated:

Leave a comment